Network (3) 썸네일형 리스트형 Retrofit2: 기본 사용 최신화: 2023.11.29~30 ‣ Intro Retrofit은 RESTful API를 사용 중인 안드로이드 개발자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라이브러리다. 이번 글에서는 Retrofit의 개념에 대해 공부해보자. ‣ Retrofit2? Retrofit2는 Android 및 Java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Type-Safety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다. Square에서 개발되었으며, RESTful API 통신을 단순화하여 앱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말 필요해서 Ktor같은 다른 웹 서비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안드로이드의 통신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다. 그럼 왜 이렇게 Retrofit이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에게 각광을 받을까?? 다음과 같은 Retro.. Moshi Converter 최신화: 2023.10.23 ‣ Intro: Moshi? 데이터를 다른 종점으로 전송하기 전, 통신이 가능하면서 나중에 재구성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해줘야한다. 이런 포맷 변환을 직렬화라하며, 변환 포맷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JSON이다. 반대로, 직렬화된 파일을 다시 객체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직렬화라 한다. Moshi는 Square에서 만든 라이브러리로, JSON과 객체 사이의 직렬화(Serialization) / 역직열화(Deserialization)를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서포팅하는 라이브러리로, 리플랙션과 Codegen 방식의 변환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Gson이 가지는 일부 한계점과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진다. 성능 Mosh.. [네트워크] 캐시(Cache) 캐시(Chache)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은 임시 장소 아래와 같은 저장공간 계층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캐시는 저장 공간이 작고 비용이 비싼 대신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파레토의 법칙과 지역성의 원리보통 개발을 할 때, "캐시로 처리하겠다"는 "나중에 요청할 결과를 미리 저장해둔 후 요청이 오면 빠르게 처리해 주겠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미리 결과를 저장하고 나중에 요청이 오면 그 요청에 대해서 DB 또는 API를 참조하지 않고 Cache를 참조하여 요청을 처리하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앞서 작성한 것 처럼,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은 임시 장소이기 때문이다.캐시의 이런 동작 배경에는 파레토 법칙과 지역성 원리가 있다. 파레토 법칙은 "80%의 결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