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tlin

(18)
[Kotlin Basic] 조건문(if)과 다중 선택문(when) 이번에는 Kotlin에서 조건문과 다중 선택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Kotlin의 조건문: if 코틀린의 조건문은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if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코틀린의 if는 식표현(expression)으로, 반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구문(statement)처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if가 식표현이기 때문에, 코틀린은 3항연산자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냥 if와 else를 3항연산자 처럼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 사용법 val max = if (a > b) { a } else { b } 앞서 설명한 데로, if는 식표현으로 반환 값을 가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 코드에서 max에는 if식에서 반환된 a 혹은 b가 저장됩니다. > 간단히 ..
[Kotlin Basic] 변수와 타입, 그리고 함수 Kotlin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Kotlin의 변수 선언 코틀린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2가지 키워드 중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키워드(Keyword) val : 변경이 불가능한 값(immutable)한 변수로 지정하는 키워드. Java에서 final 변수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변수가 최초 초기화 된 이후, 값의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var: 변경 가능한(mutable)한 변수로 지정하는 키워드입니다. Java의 일반 변수에 해당합니다. 위 키워드 중 하나를 반드시 맨 앞에 명시해야 하며, 타입은 뒤에 명시하거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α) 타입을 생략할 수 있는 이유는, 코틀린은 타입 추론(Type Inference)이 가능하기 때문입..